옥수수뱀이라고도 불리는 콘스네이크(Corn Snake)는 블랙킹스네이크와 더불어 사람들에게 인기가 많은 뱀 종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콘스네이크 성체, 반려동물로 키울 때 유의 사항, 콘스네이크 모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콘스네이크 성체
콘스네이크의 몸길이는 일반적으로 35피트 (약 90~120센티미터) 정도로 성장합니다. 어린 개체는 더 작을 수 있으며, 특별한 유전적 변이로 크기가 다를 수 있습니다. 콘스네이크는 다양한 무늬와 색상을 가집니다. 주로 노란색, 주황색, 빨간색, 갈색 등의 기본 색상을 가지고 있으며, 체키 무늬나 줄무늬, 무늬와 줄이 섞인 패턴 등이 있습니다. 콘스네이크는 머리가 비교적 작고, 몸과 길게 뻗어 있는 몸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머리에는 주변과 구분되는 특별한 무늬나 색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결정적으로 콘스네이크는 무독성 뱀 중 하나로, 입에 독선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콘스네이크에게 물리는 것은 일반적으로 무해하며, 살상적인 독을 가지고 있는 다른 뱀과는 구분됩니다. 이 뱀은 온화하고 평온한 성격을 가지고 있어서 반려동물로서 인기가 있습니다. 잘 다루어지고 주기적으로 다루면 사람에게 익숙해질 수 있습니다. 콘스네이크는 주로 작은 동물을 먹는 야행성 동물입니다. 주로 생쥐, 새의 알, 동물의 머리를 주로 먹이로 하며, 사육할 때에는 적절한 사육 동물을 제공해야 합니다.
2. 반려동물로 키울 때 유의 사항
콘스네이크를 반려동물로 키우는 데 필요한 중요한 지식과 고려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콘스네이크의 종류 선택입니다. 콘스네이크 종류는 다양하며, 종마다 크기, 무늬, 색상 등이 다를 수 있습니다. 콘스네이크의 종류를 선택할 때, 해당 종의 크기와 성격을 고려하여 어떤 종을 키울 것인지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다음은 사육 환경입니다. 콘스네이크는 올바른 사육 환경이 필요합니다. 콘스네이크를 위한 어항을 선택하고, 열원(온열판 또는 열선 등)을 제공하여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습도 조절 또한 중요하며, 콘스네이크는 물에 담그거나 스프레이로 습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사육 온도 역시 중요합니다. 콘스네이크는 온도에 민감합니다. 주로 24도에서 29도 사이의 온도에서 사육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열원과 온도 조절 장치를 사용해야 합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콘스네이크는 특히 작은 구멍이나 틈새로부터 탈출할 수 있으므로 사육 장소를 잠금장치로 보호해야 합니다. 또한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콘스네이크를 다룰 때 주의해야 합니다. 콘스네이크는 약 20년 정도의 수명을 가지므로 장기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정기적인 건강 검진과 병원에 대한 지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콘스네이크를 키우려는 경우, 적절한 준비와 지식이 필요하며, 이러한 동물을 책임 있게 사육해야 합니다.
3. 콘스네이크 모프
먼저, 모프의 의미는 같은 종이지만 색이나 패턴이 다른 개체를 의미합니다. "Polymorphism(폴리모피즘)" 즉, 다형성이 어원이며 통상적으로 모프라고 불립니다. 콘스네이크 모프는 다양한 색상, 무늬 및 패턴 변이로 구분됩니다. 주요 모프 계열로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변이들이 있습니다: 노멀 계열에는 로컬(서식지)에 따라 다른 변이들이 포함됩니다. 무늬를 변형시키는 모프 계열에는 모틀리, 스트라이프, 디퓨즈드, 팔메토, 파이드사이드, 스케일리스가 속하며, 각각 독특한 무늬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색상을 변형시키는 모프 계열에는 알비노, 하이포, 애너리, 차콜, 카라멜, 신더, 라벤더 등 다양한 변이가 있으며, 콤보 모프 계열에는 스노우, 블리자드, 버터, 고스트, 팬텀, 페퍼민트, 크림시클, 울트라멜과 같이 여러 모프들을 결합하여 생성된 혼합 모프들이 포함됩니다. 이 중에 콘스네이크 블리자드(Blizzard)는 인기가 많습니다. 알비노와 차콜 콘 스네이크의 교배로 탄생하는 블리자드는, 보통 사람들이 볼 때는 백사의 모습에 가깝습니다.
여기까지 콘스네이크의 성체, 반려동물로 키울 때 유의 사항, 모프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봤습니다.
'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여운 미어캣, 실제 성격도 귀여울까? (0) | 2023.10.05 |
---|---|
볼파이톤 사육 방법, 성체, 킹스네이크 및 콘스네이크와 비교 (0) | 2023.10.03 |
블랙킹스네이크는 반려동물로 괜찮을까? (1) | 2023.10.02 |
넓적사슴벌레는 반려동물로 적절한가? (0) | 2023.10.01 |
펫테일게코를 포함한 반려 도마뱀 TOP4 (0) | 2023.09.30 |